Research

연구

건축이론/설계연구실 Architectural Theory & Design Lab

  • 건축의 기여: 건축물에서도 가장 중요한 작품의 창조와 수용이란 의미에서 세계의 구성, 실재의 창조와 재창조는 무엇인가에 관해 인문학적 분석 후 그 분석을 바탕으로 건축이론 창출 및 건축비평
    Contribution of Architecture: In terms of the creation and acceptance of work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in architecture, the construction of the world and the creation and re-creation of reality should be analyzed and an architectural theory and architectural criticism will be developed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 창조된 것이자 창조적인 것의 의미를 지닌 건축: 건축을 비롯한 예술작품을 그 의미 그대로 고려하여 고찰. 건축을 도구, 과학적 진술의 대상 또는 언어적 표현의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상징과 이미지로서 대하여 실제의 생활과 건축의 관계를 연구. 파울 클레의 말, ‘삶을 흔히 보이는 것보다 더 크게 만들어주는 것, 즉 예술을 지닌 실재’를 향한 건축설계 이론 창출. Architecture with the meaning of being created and being creative: Considering works of art including architecture as they ar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life and architecture as a symbol and image, not as an instrumental or scientific statement or as a means of verbal expression. In Paul Klee's words, creating an architectural design theory for'what makes life bigger than usual, that is, the reality with art'.
  • 실용주의 철학을 중심으로 한 이론 창출: 플라톤을 필두로 하는 형이상학 중심의 철학보다는 메를로 퐁티, 앙리 베르그송, 마르틴 하이데거 등의 실용적 철학을 중심으로 하여 건축을 고찰
    Creating theories based on pragmatism philosophy: Considering architecture focusing on pragmatic philosophies such as Merlot Ponti, Henri Bergson, and Martin Heidegger rather than metaphysical philosophies led by Plato.

  • > 이동언교수 Prof. LEE Dongeun's web-page

    건축역사연구실 Architectural History Lab

  • 역사문화자원 보존활용 :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건축역사자원 및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지방도시의 정체성과 고유성 회복 방안 연구
    Study on strategies to restore the identity and uniqueness of local cities by utilizing architec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representing regional history and culture
  • 조선시대 부산과 남해안 일대에 건설된 연해읍성을 조사하여 유형 분류와 특성을 고찰하고 지방 도시의 역사적 건축을 활용한 생활환경 창의적 디자인 방안 연구
    Research on the coastal castles / town wall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ere built in the areas of Busan and the south coast, to classify the types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o study the living environment creative design plan using the historical architecture of local cities.
  • 전통조형미의 적용 : 한국건축사와 미술사 전공자 간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전통건축의 단청 조형미를 규명하고 이를 현대적으로 표현한 창의적/혁신적 디자인 연구
    Creative/innovative design study that identifies the formative beauty of Dancheong in traditional architecture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Korean architects and art history majors, and expresses it in a modern way.
  • 지역문화자원 활용 : 조선후기에 건립된 안동지역의 서원을 대상으로 전통건축의 생산체제와 조형에 관하여 고찰하고 현대생활의 SOC 생산을 통하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과 생활 SOC의 설계에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제시
    Considering the production system and formativenes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in the Andong area buil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suggesting ways to solve social problems through the production of SOC in modern life and ways to utilize local cultural resources in the design of living SOC.

  • > 이호열교수 Prof. LEE Hoyeol's web-page

    사회공간연구실 Social Space Lab

  • 도시의 사회와 커뮤니티는 공간과 장소 그리고 그 구조와 다양한 영향을 교류하며 성장하며 이러한 성장은 다양한 도시지리학적 요소들과 연관되어 있다. 도시나 마을공간의 형태나 구조가 이러한 지역의 사회적 공간으로서 어떻게 작동하며 지역의 사회와 커뮤니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조사하고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증진시키는 공간과 장소의 유형에 관해 연구
    Society and communities have sustainability by mutual interactions with places and spatial structures and these process is closely related to various urban geographic conditions. So, focusing on how the space structure and forms work as a social space in these regions and how it affects the local society and community, and study the types of spaces and places that promote the social rolls of space
  • 오래된 중국전통 마을의 길과 장소에 존재해 온 사회적인 의미를 연구하고 주민들의 사회적 공간으로서 길과 장소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역사적으로 건강한 마을의 사회적 관계와 공간의 관계를 구명하는 연구를 통하여 지방도시쇠퇴 문제에 대응하는 지역 커뮤니티의 사회적 공간의 체제와 형식 제안
    Focusing on the social significance that has existed in the streets and places of old Chinese traditional villages, and re-examines the value of the streets and places as social spaces for residents. Through research on the social relations and spatial relations of healthy villages, propose the system and form of social spaces of local communities to cope with the problem of local urban decline.
  • 마을의 사회적 공간에 관한 한-중공동연구와 한-이탈리아 공동연구를 통하여 마을의 길과 장소들에 근거한 주민들의 사회적 의미와 건강한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사회적 공간구조를 탐색하고 현대도시의 주거지에서 소거되어 버린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와 지역의 공간구조 간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방안탐색
    Through Korea-China, Korea-Italy joint research on village social space, exploring the social meaning of village streets and places to residents and social spatial structures that support healthy communities that removed from residential areas of modern cities. explores ways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lations of the abandoned residents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local village.
  • 전지구적 관점의 건강한 사회적 공간의 생산을 위하여 지역의 장소성과 커뮤니티 리질리언스 그리고 지역에 적합한 가치를 구현하는 적정기술의 발굴과 활용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discovery and use of appropriate technology that realizes local sense of place, community resilience, for the production of a healthy social space from a global perspective.

  • > 이인희교수 Prof. LEE Inhee's web-page

    건축계획연구실 Architectural Planning Lab

  • 쇠퇴도시 빈집 유형분석 : 피란민 주거지의 평면 유형과 1가구부터 4가구까지 공동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주거 공간을 가족 수와 생애주기별로 나타난 증축, 변용과정을 추적해서 이용실태와 변용 패턴을 분석
    Analysis of types of vacant houses in declining cities: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and transformation patterns by tracking the process of extension and transformation of residential spaces by the number of families and life cycles for clarify the unit types of refugee dwellings.
  • 동아시아 한중일 개항도시의 역사문화 정체성 기반의 도시 재생활용 사례와 방법 Study on the cases and methods of urban regeneration in East Asia, includ Korea, China and Japan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dentity.
  • 부산의 특징적인 피란민주거지의 생애주기별 공간 변용패턴 과 노유자 거주 실태와 특성 그리고 유휴공간에 대한 이용 현황 분석에 기반한 유휴면적에 대한 활용 방안 등을 제시 Spatial transformation patterns for each life cycle in Busan's unique type of refugee residence, analysis of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s residence, and suggestion of utilization plans for idle areas based on analysis of the use of idle spaces.
  • 주거복지 계획 : 노후주거지나 유휴시설 대상으로 한 지역 취약계층을 위한 고부가가치형 도시재생 계획 Residential Welfare Plan: High value-added urban regeneration plan for the vulnerable in an area targeting old dwellings and idle facilities
  • 커뮤니티 디자인 : 심상지도(Mental Map)와의 관계를 도출해 주민 커뮤니티공간에 대한 가능성과 지속가능한 생활환경 구축 Community Design: Develop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mental map to build a possible and sustainable living environment for the community space of residents

  • > 유재우 교수 Prof. YOO Jaewoo's web-page

    도시건축연구실 Urban Architecture Lab

  • 유휴공간 현황조사 및 발생패턴 분석 : 도시쇠퇴의 공간적 지표로서 유휴공간을 공간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지방도시의 쇠퇴문제를 도시 구조적 차원에서 분석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idle space and analysis of occurrence patterns: Spatial structural analysis of idle space as a spatial indicator of urban decline, and analysis of problems by decline of local cities from the urban structural level
  •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노후경사주거지의 유휴공간 발생문제를 골목길을 활용하여 공간구조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공간적 쇠퇴에 대한 분석방법론(GIS DB분석을 종합하여 진행 함으로써, 현장기반형 GIS 공간분석의 가능성을 제시)
    Analytical approach to spatial decline, as if solving the problem of idle space occurring in naturally-formed, sloping residential areas by revitalization of alleyways in the spatial structural dimension
  • 미래 도시축소시대에 대응하여 도시쇠퇴를 공간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예측모델을 구축하여 쇠퇴도시의 선제적 대응이 가능한 건축설계 및 계획기법을 제안
    In response to the era of urban reduction in the future, analyze spatially urban decline and a establish the predictive model. And propose architectural design and planning techniques that can preemptively respond to declining cities.
  • 부산시의 대표적 노후주거지인 정책이주지 공간구조와 건축 변화를 통한 쇠퇴변화 분석에 입각한 도시재생방안 도출
    Analysis of declining changes on spatial structure and architectural changes in the enforced-migrant area, the representative old residential area of ​​Busan City, and deduc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posals taking this into account.

  • > 우신구 교수 Prof. WOO Shinkoo's web-page

    친환경건축계획연구실 Environmental Friendly Architectural Planning Lab

  • 기후변화대응 녹색건축기술 : 미래 기후변화시나리오와 건축물 자연재해 취약성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풍수해 저감 건축계획 기법 제시
    Green building technology as respond to climate change : Presenting a architectural planning technique to reduce wind and flood damage based on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predicting of vulnerability of buildings to natural disaster
  • 숨쉬는 건축 : 한국형 숨 쉬는 건축부재 최적화를 통해 건물 에너지, 환기, 결로 방지 등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생활환경 문제의 해결방안 모색
    Breathing Architecture: Searching for solutions to living environment problems that are becoming social issues such as building energy, ventilation, and prevention of dew condensation through the optimization of Korean-style breathing building materials
  • 제로에너지 건축 : 빛환경과 열환경의 쾌적성 향상을 위한 건축계획지원 시스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데이터 구축
    Zero-energy architecture: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 building plan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the comfort of light and thermal environments, and establishing basic data for system development
  • 일조권 침해 문제와 하절기 폭염 저감을 위한 케이스스터디를 통해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디자인 방안 제안
    Proposal of design measures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case studies to reduce sunlight infringement and summer heat waves
  • 물리 방정식에 의한 수치 시뮬레이션과 통계기법을 활용하고 빛 환경과 열 환경의 종합적 측면에서 건축계획 변수 최적화 방안과 생활환경 개선 방안 모색
    Using numerical simulations and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physical equations, looking for ways to optimize architectural planning variables and improve living environments in the light environment and thermal environment
  • 건축물 자연재해 취약성 평가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건축계획 대상 부지의 자연재해 가능성을 파악하고 보다 안전한 생활안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디자인 방안 모색
    Using the building’s natural disaster vulnerability assessment algorithm, we identify the possibility of natural disasters on the site for the building plan and seek a design plan to build a safety living infrastructure
  • 도시 전체 건축물을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AI기법에 의한 예측 모델을 작성하여 4차 산업시대에 있어서 건축분야에서의 방재건축 디자인 의사결정시스템 개발
    Analysis of declining changes on spatial structure and architectural changes in the enforced-migrant area, the representative old residential area of ​​Busan City, and deduc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posals taking this into account.

  • > 윤성환 교수 YOON Seonghwan's web-page

    건축설계연구실 Architectural Design Lab

  • 기후변화대응 녹색건축기술 : 미래 기후변화시나리오와 건축물 자연재해 취약성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풍수해 저감 건축계획 기법 제시
    Green building technology as respond to climate change : Presenting a architectural planning technique to reduce wind and flood damage based on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predicting of vulnerability of buildings to natural disaster
  • 숨쉬는 건축 : 한국형 숨 쉬는 건축부재 최적화를 통해 건물 에너지, 환기, 결로 방지 등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생활환경 문제의 해결방안 모색
    Breathing Architecture: Searching for solutions to living environment problems that are becoming social issues such as building energy, ventilation, and prevention of dew condensation through the optimization of Korean-style breathing building materials
  • 제로에너지 건축 : 빛환경과 열환경의 쾌적성 향상을 위한 건축계획지원 시스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데이터 구축
    Zero-energy architecture: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 building plan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the comfort of light and thermal environments, and establishing basic data for system development
  • 일조권 침해 문제와 하절기 폭염 저감을 위한 케이스스터디를 통해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디자인 방안 제안
    Proposal of design measures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case studies to reduce sunlight infringement and summer heat waves
  • 물리 방정식에 의한 수치 시뮬레이션과 통계기법을 활용하고 빛 환경과 열 환경의 종합적 측면에서 건축계획 변수 최적화 방안과 생활환경 개선 방안 모색
    Using numerical simulations and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physical equations, looking for ways to optimize architectural planning variables and improve living environments in the light environment and thermal environment
  • 건축물 자연재해 취약성 평가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건축계획 대상 부지의 자연재해 가능성을 파악하고 보다 안전한 생활안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디자인 방안 모색
    Using the building’s natural disaster vulnerability assessment algorithm, we identify the possibility of natural disasters on the site for the building plan and seek a design plan to build a safety living infrastructure
  • 도시 전체 건축물을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AI기법에 의한 예측 모델을 작성하여 4차 산업시대에 있어서 건축분야에서의 방재건축 디자인 의사결정시스템 개발
    Analysis of declining changes on spatial structure and architectural changes in the enforced-migrant area, the representative old residential area of ​​Busan City, and deduc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posals taking this into account.

  • > 박창배 교수 PARK Changbae's web-page

    건축도시연구실 A & U Lab

  • 디자인 전략 및 실현 시스템 연구 : 다수의 국내외 건축 디자인 학회 및 공모전 활동으로 현대 도시의 흐름 과 다양한 이슈를 접목하여 도시환경과 사람을 융화시키는 디자인 전략 및 실현 시스템을 연구개발 지원
    Design strategy and realization system study :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esign strategies and realization systems that harmonize the urban environment and people by combining the flow of modern cities and various issues through the activities of numer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chitectural design societies and competitions
  • 현대도시 흐름 및 이슈 대응 : 현대 산업 발전과 더불어 도시의 병폐와 쇠퇴를 야기하는 사회적 문제 에 대응하여 지역별 장소적 특성 고려, 기능별 통합적 건축 및 도시 디 자인을 연구개발함으로서, 향후 지속가능한 건축 도시 디자인 정책 수립에 기여
    Response to changes and issues in modern cities :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architectural and urban design policies in the futur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d researching and developing integrated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for each function in response to social problems that cause urban ills and decline along with modern industrial development

  • > 로렌스킴 교수 Lawrence Kim's web-page

    공간문화연구실 Architecture and Cultural Studies Lab

  • 지역도시 대안적 관리제도 지원 : 수도권은 아직 도시축소가 실감되지 않기에 광역 적 차원의 도시계획의 틀이 여전히 성장관리에 머무는 경향이 있는 반면 지역도시는 별도의 관리제도를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따라서 지방도시쇠퇴라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관리제도의 제안을 통해 문제해결을 지원
    Support for alternative management system for local cities : In the capital area, the framework of regional urban planning still tends to remain in growth management, while local cities need to seek a separate management system. Therefore, we support problem solving through the proposal of a new management system to solve the social problem of local urban decline.
  • 유휴공간 활용방안 컨설팅 : 성장시기 도시관리 제도가 쇠퇴시기 변화해야 할 방향을 찾는 것을 목표로 도시 밀집도 저하 및 인구감소시대의 유휴공간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진행
    Consulting on how to utilize idle space :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idle space in the era of declining urban density and population with the goal of finding the direction to change in the period of decline of the urban management system during the growth period
  • 새로운 도시계획기법 컨설팅 : 과거의 시장주도 개발방식이 쇠퇴도시에 계속 적용된다면 지가하락 및 저개발 상황에 고착될 위기에 직면, 따라서 새로운 공공계획 수립 필요, 부산시 및 동남권 산업도시에 적용될 도시계획 기법 제안
    Consulting on how to utilize idle space : RIf the past market-led development method continues to be applied to a declining city, it may face the risk of being stuck in a declining land price and underdevelopment sit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public plan, and we propose an urban planning technique to be applied to industrial cities in Busan and the southeast area

  • > 정재훈 교수 CHUNG Jaehoon's web-page

    About Department of Architecture, PNU

    Faculty Members

    [교수진] 현재 학과에는 10인의 학과 교수진, 2인의 사업단 연구교수 그리고 4인의 학과/시업단 스텝이 근무하고 있다.

    Research

    [연구] 학과의 교수진과 사업단에서 진행하고 있는 주요 연구과제와 연구실적을 보실 수 있습니다.

    Student's Activities

    [학생활동] 학과 학생회의 활동과 설계스튜디오위 학생작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Undergraduate Admission

    [학부입학] 학과(학부)의 입학정보를 안내하고 있습니다.